칼과 칸나꽃
최정례
너는 칼자루를 쥐었고
그래 나는 재빨리 목을 들이민다
칼자루를 쥔 것은 내가 아닌 너이므로
휘두르는 칼날을 바라봐야 하는 것은
네가 아닌 나이므로
너와 나 이야기의 끝장에 마침
막 지고 있는 칸나꽃이 있다
칸나꽃이 칸나꽃임을 이기기 위해
칸나꽃으로 지고 있다
문을 걸어잠그고
슬퍼하자 실컷
첫날은 슬프고
둘째 날도 슬프고
셋째 날 또한 슬플 테지만
슬픔의 첫째 날이 슬픔의 둘째 날에게 가 무너지고
슬픔의 둘째 날이 슬픔의 셋째 날에게 가 무너지고
슬픔의 셋째 날이 다시 쓰러지는 걸
슬픔의 넷째 날이 되어 바라보자
어찌 생각하면 속된말로 채이는 쪽이 서럽다고 여기 저기다 대고 징징 거리지 않는다. 문을 걸어잠그고 홀로 슬퍼하자고 다짐하는 걸 보면, 또한 그이별의 슬픔이 하루, 이틀, 사흘…지나면 거리를 두고 바라볼 수 있게 된다는 걸 이미 채득한 시인을 독자는 ‘cool’하다고 느낀다. 칼로 무쪽 자르듯 당한 이별의 순간에 칸나꽃이 지고 있다. 그냥 지는 것이 아니고 존재를 이기기 위해 지고있다. 이 얼마나 멋지게 표현된 허물어지는 자세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