畵家 뭉크와 함께

畵家 뭉크와 함께

이승하

어디서 울음소리가 들려

견딜 수가 없어 말야

토하고 싶어 울음소리가

끊어질 끊이지 않고

들려와

 

양팔을 벌리고 과녁에 있는

그런 불안의 생김새들

우우 그런 치욕적인

광경을 보면 소름 끼쳐

달아나고 싶어

 

同化 童話 세계야

저놈의 소리 울음소리

세기말의 배후에서 무수한 학살극

발이 떼어지지 않아 그런데

자백하라구?  내가 무얼 어쨌기에

 

소름 끼쳐 도시

아니 웃는 소리야 끝내는

끝내는 미쳐버릴지 모른다

우우 보트 피플이여 세계여

나는 부인할 것이다.

            1984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작인 시는 당시 게으르게 은유하던  문학인들과 독자들의 정신을 일격에 깨우는 힘을 가지고 있었다.  프로이드의 억압되어있는 무의식이 발표된 즈음에 유럽의 문화는 뭉크라는 화가를 통해서 까닭을 없는 공포를 형상화 시켜 세상에 보여주었다. 뭉크의절규 시에서처럼 목구멍 밖으로 터져나오지 않는 절규다. 어떤 끔찍한 상황이 화자를 이토록 더듬거리게 만들었을까? 마치 노신의Q 정전 공포를떠올리게도  한다. 그리고 외치고 싶은 자는 이상 살아있는 사람의 몰골이 아니다. 외돌아서,  과연 우리는 하고싶은 말을 외치고 사는가세상에 질식당한 나약한 인간의 얼어붙은 절규는 또한 어떤가.   세기말과 전쟁을 들먹이지 않더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