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4. 우울증과 한방치료

요즘은 우울증 대안 치료로 한방치료를 선호하는 캐나다 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우울증은 정신과약물치료로 많은 진전을 보고 있지만 약물의존성과 부작용, 장기간의 심리치료는 경제적 부담과 더불어 사회로부터 느끼는 거부감은 커다란 장애물이 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이 정신건강의 문제가 되는 우울증치료를 한방침술로 선택하여 눈에 띄는 효과를 보면서 삶의 질을 높이고 있다.

요즘은 눈에 띄게 한의원에서 많은 환자들이 우울증과 불안장애, 공황장애, 불면증 등 감정장애를 한방치료와 함께 정신과치료를 받고 있다. 우울증환자들이 가장 많이 호소하는 항 우울성약물의 부작용과 신체적, 감정적 고통을 다스리는데 아주 큰 효과를 보고 있다.

우울증에 걸리면 입이 마르고, 잦은 두통, 체중증가, 변비, 수면장애, 소화불량, 성기능장애, 짜증, 분노, 메스꺼움, 현기증, 졸음 등 다양한 현상으로 나타난다. 또한 장기간 우울증에 노출되면 면역체계가 약해져서 잦은 감기와 알러지에도 시달리게 된다.

한방에서는 몸과 마음의 병을 같이 다스린다. 많은 병이 마음에서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오래 전부터 깨달은 동양의학은 ‘마음을 다스리는 법’ 또한 소홀이 하지 않았다. 한방에서는 간에 기가 막히면서 우울증이 시작된다고 했다. 여러 가지 원인 중 어릴 적 어려운 가정환경에서 감정적, 신체적 상처를 받고 성장하면서 학교나 직장, 결혼생활 중에서도 언어적 폭력 등에 노출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외에도 교통사고, 재난재해를 경험하면서 공포와 두려움을 경험한 경우 감정조절능력이 떨어지면서 몸에 기가 제대로 돌지 않아 우울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가슴이 답답해지고 트림이 계속 나고 옆구리가 결리고 쑤시기 시작한다. 여성의 경우 유방이 팽창하는 느낌이 들고 평소에 맞는 브래지어가 갑자기 답답하게 느껴지며 숨이 막히는 느낌도 든다. 또한 목 구멍에 꼭 무엇인가 걸려 있는 느낌이 들어 헛기침을 하게 되고 식사도중 음식물이 자주 목에 걸려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 헛구역질을 하게 된다. 몸과 마음에 기가 막히면서 몸에 열이 생겨 짜증과 분노가 상승한다. 감정이 격앙되어 공격성으로 발전한다.

서양의학에서는 이런 증상을 보고 격정성 우울증이라고 한다. 입에 쓴맛이 나고, 눈에는 충혈, 편두통, 변비증상이 나타나고 얼굴이 붉어지고 어두워지기도 한다.

한방치료는 꾸준한 침술과 한약치료를 받으면서 잘못된 식습관과 대인관계를 개선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