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되면 동서양인을 막론하고 찾아오는 춘곤증은 기온이 따뜻해져서 몸의 신진대사가 활발해 지고 영양분의 소모량이 많아지는데 비하여 우리 몸은 아직 충분한 양의 대사물질을 준비하지 못했기에 발생하는 일종의 영양결핍증이라 할 수 있다. 또 낮이 길어져 겨울보다 활동량이 증가하고 잠도 부족해지는 등 생체리듬이 변화되는 것도 일부 원인이 된다.
우리 몸이 이런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무력해지면 나른하기까지 한다. 식욕도 떨어지고 졸음이 쏟아지는 춘곤증은 남녀노소 누구나 겪게 되지만 특히 운동량이 부족하고 과로하기 쉬운 직장인들과 학생들, 그리고 주부에게 많이 나타난다.
봄에는 목(木)의 기운이 가장 왕성한 시기라 목(木)에 해당하는 장기인 간(肝)의 활동력이 더욱 활발해진다. 그런데 간의 기운이 활발해지면 토(土)에 해당하는 비장과 위장의 기능이 목(木)에 의해 억제되기 때문에 소화가 잘되지 않고 식욕이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춘곤증이 심할 때는 소화기관에 부담을 주는 기름진 음식이나 과식을 피하고 그들의 기운을 북돋아주는 약재나 식품을 섭취해야 한다.
춘곤증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운동과 숙면, 비타민이 풍부한 제철음식이 좋다. 특히 각종 영양소가 풍부한 봄나물을 먹는 것이 큰 효과가 있다. 봄나물에는 봄철에 부족해지기 쉬운 비타민 A, B, C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봄나물 중 씀바귀는 성질이 차고 맛이 쓰기 때문에 한의학에서는 ‘고채(苦菜)’라고 부르며, 동의보감에서는 그 효능을 “오장의 사기와 열기를 없애고 마음과 정신을 안정시키며 잠을 덜 자게 하고 악창을 낫게 한다.”라고 하였다
봄나물의 대명사로 불리는 냉이는 끓는 물에 데쳐 고추장에 무쳐먹거나 국을 끓여먹고, 돌나물은 새콤하게 초무침을 해먹으면 비타민C와 칼슘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다. 두릅나물도 끓는 물에 적당히 데쳐서 고추장에 찍어먹으면 특유의 막과 향기가 입맛을 돋구어주는 동시에 안신(安神)의 효과가 있어 정신적 긴장이 많은 학생과 직장인의 머리를 맑게 해준다.
*춘곤증의 퇴치수칙: 1)커피, 음주, 흡연을 피한다. –피곤하다고 커피를 자주 마시거나 음주, 흡연을 자주하면 피곤해질 수밖에 없다. 2)아침
을 거르지 말자. –뇌가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공급해야 한다. 3)가벼운 운동을 규칙적으로 한다 –스트레칭, 산책 등으로 근육을 풀어주면 잠이 잘 온다. 4)낮잠은 10분만 자도 충분하다. –불편한 자세로 30분 이상 자면 밤에 숙면을 방해한다. 5)환기를 자주 시킨다. –탁한 공기는 산소부족으로 하품과 졸음을 몰고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