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의 무게는 보통 5kg 내외인데 이는 사실 대단히 무거운 것으로서 인체 부위 중에서 그 단위 부피당 무게 즉 비중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무거운 머리를 그저 지탱만 하는 것뿐 아니라 좌우 전후 사방으로 계속 운동시켜야 하는 우리의 목은 아이러니컬하게도 매우 조그마한 부위에 불과하다. 척추 뼈 중에서도 작은 편인 목뼈 7개와 주위 근육들이 이렇게 힘든 일을 아침부터 잠들 때까지 쉴새 없이 일하고 있는 것이다.
한 가지 간단한 실험을 해보자. 만약 누워있는 자세에서 다른 사람이 나의 머리를 두 손으로 받쳐 들고 좌우로 돌려 주거나 앞뒤로 조금씩 운동시켜 준다면 무척 편한 느낌이 들것이다. 이 느낌이 바로 그 무거운 머리를 움직여 주던 책임을 덜어 낸 해방감에서 비롯된 것인데 얼핏 상상하는 것보다도 훨씬 기분이 좋아지며 10초 정도 그냥 들어 주기만 해도 목 부위 근육이 부드럽게 풀려 피로가 물러가고 잠도 잘 잘 수 있다.
현대의 우리들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목 근육을 긴장시키고 있다. 스트레스, 운전, 장기간 컴퓨터 사용이 주된 원인이겠지만 음주, 흡연도 목 근육을 과민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이 뻣뻣해 지면 그 자체로도 고통스럽지만 이 상태가 누적되면 두통, 안구 피로, 집중곤란, 등 결림 등의 증상이 같이 발생하기 쉽고 6개월 이상 지속되면 그 압력에 견디다 못한 추간판(디스크)가 이탈되기 쉬워 소위 목 디스크에 이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런 증상이 한 달 이상 지속된다면 의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하며 침을 맞거나 물리치료를 일정기간 받아야 한다. 최근에는 추나요법이라고 하는 치료법으로 척추의 배열을 고정하는 방법이 도입되어 오래된 목 강직뿐 아니라 목 디스크 질환도 수술하지 않고 좋은 성적을 올리고 있다. 추나요법은 척추 뼈가 올바른 위치에 있는지를 검사하여 가능한 한 정상 위치에 접근하도록 교정하여 줌으로써 주위 근육과 신경 조직이 눌리거나 비틀어지지 않도록 바로 잡는 것이다.
좋지 않은 습관 즉 관절부위, 특히 목이나 허리 또는 손가락을 스스로 꺾어 똑똑 소리를 내는 사람이 있다. 이런 운동을 하면 관절이 풀리고 개운한 느낌을 받는다고 하는데 의학적 관점에서 볼 때 이는 관절의 마모 곧 퇴행성 변화를 촉진시키는 것이므로 결코 권장할 수 없다. 일단 습관적이 된 후에는 이를 되풀이 하지 않으면 관절 운동이 제한된 느낌이 있기 때문에 점점 더 큰 힘을 주게 되어 관절이 어긋나는 경우도 있다. 해결책은 3~4주 정도 이 습관을 중지하는 것이다. 그 동안에는 꽤나 거북한 느낌이 들겠지만 대부분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 올 수 있으므로 인내력을 가지고 악습관을 고쳐야 한다. 그래도 통증이나 운동 제한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침이나 한약으로 처방하여 기혈을 보하는 치료를 단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