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어린이의 성장과 발육은 성인과 다른 근본적인 특징으로서 성장은 양적으로 증가해 나가는 과정을 말하며 양적으로 측정 가능한 신장, 체중, 기관의 무게 등을 의미한다. 성장에 관여하는 요인은 크게 유전과 환경이다. 유전에는 인종, 민족, 가계, 연령, 성별, 염색체 이상, 선천성 대사 이상이 되고, 환경에는 외부적인 요인으로 사회 경제적인 요인, 신체적인 환경, 계절, 심리적 요인, 운동 및 신체 자극, 영양, 질병 등이 있다. 어린이의 성장과 발달은 외부적으로는 적절한 영양공급과 내부적으로는 호르몬의 복합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런 외부적, 내부적 작용기전 중 한 가지라도 이상이 생기면 정상적인 성장은 기대할 수 없다.
성장 발육은 모두 양기(陽氣)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중에서도 신양(腎陽)과 관계가 깊다고 보아진다. 선천적 요인의 대표적인 신(腎)은 서양의학의 내분비와 유사하며 특히 뇌하수체와 부신피질, 뇌하수체와 성선(性腺)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후천적인 요인인 비(脾)는 장(腸), 위(胃), 간(肝), 췌장(膵臟), 비장 (脾臟) 등 소화기 기능을 통괄하는 개념으로서 영양물질의 흡수 경로로 이해된다. 요약하면 한의학적 성장장애는 선천적인 신기능(腎機能)의 부족과 후천적인 비기능(脾機能)의 실조가 원인이라고 보아지며 이는 내분비의 영양이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설명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선천부족(先天不足)에 의해 성장 지연이 나타나지만 후천적으로 조리(調理)를 못해 선천(先天)을 도와주지 못하면 성장발육이 장애를 받아 체중, 신장, 치아발생, 동작, 지능 등 여러 방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실제적으로 2차성장장애 중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원인은 영양 장애로써 후천(後天)의 영향력을 간과할 수 없다. 만약 비허(脾虛)로 음식물의 정상적인 섭취와 흡수가 감소되면 반복적인 호흡기 감염, 영양불량 등의 질환에 이환(罹患)되기 쉽고 생장발육에도 영향을 미친다. 신(腎)은 선천(先天)의 근본(根本)이고 성장발육을 주관하게 되는데 이는 후천적인 영양소를 끊임없이 공급받아야 정상적인 성장발육을 이룰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성장 발육이 늦어지고 지능이 늦어지는 경우는 비(脾)와 신(腎)을 도와 생장 발육을 도와 주면서 지능을 보태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