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우편노조(CUPW)가 정부의 캐나다포스트 개편안에 반발해 25일 저녁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하면서 전국적으로 우편 배달이 전면 중단됐다.
노조는 “이번 파업은 단순히 노동자의 권리 문제가 아니라, 모든 캐나다인이 매일 의존하는 공공 서비스를 지키기 위한 것”이라며 정부와 캐나다포스트가 추진하는 개편안은 서비스 축소와 민영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조엘 라이트바운드(Joël Lightbound) 캐나다포스트 담당 장관은 이날 발표에서 개인 가정에 대한 문앞 배달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고 커뮤니티 우편함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필요성이 줄어든 일부 우체국을 폐쇄하고, 비긴급 우편물의 항공 수송도 중단하는 등 대규모 구조조정을 예고했다. 그는 캐나다포스트가 사실상 지급불능 상태에 빠져 있어 개혁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캐나다포스트는 성명을 통해 “노조가 정부 개편안에 반발해 전국적 파업을 선택한 것은 회사의 재정난을 악화시킬 뿐”이라며 “새로운 제안을 신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회사 측은 노조의 임금 및 복지 요구가 막대한 추가 비용을 초래한다며 수용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파업으로 인해 전국 우편물과 소포 접수 및 배달은 중단됐으며, 이미 유통망에 들어간 우편물도 보관된다. 파업 종료 이후에도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부 보조금과 연금 등 사회보장 수표와 생물체 배송은 예외적으로 유지된다.
캐나다 중소기업연맹(CFIB)은 “지난해 파업으로 중소기업이 약 10억 달러의 손실을 입었다”며 “연말 쇼핑 성수기를 앞두고 또다시 큰 피해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캐나다상공회의소도 성명을 내고 “소비자와 기업 모두 피해를 보고 있다”며 양측의 조속한 협상을 촉구했다.
현재 CUPW는 4년간 19% 임금 인상, 물가연동수당 도입, 복지 및 유급휴가 확대 등을 요구하고 있으며, 캐나다포스트는 13% 인상안을 제시하면서 주말 소포 배달에 파트타임 인력 투입을 추진하고 있다. 양측의 입장 차가 여전히 큰 가운데 장기화 우려도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