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은 쓸쓸하고 서늘한 계절이다. 시기적으로는 여름과 겨울 사이에 있는 환절기라고 볼 수 있는데, 그래서 춥고 더운 일교차가 클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인체 면역력이 쉽게 떨어지는 계절이기도 하다. 따라서 신체 중에서 외부 환경에 적응하는 부위인 호흡기나 피부 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은데, 한의학에서는 이럴 때 ‘폐(肺)’와 연관시켜 진료하는 편이다.
이렇게 호흡기 면역력이 떨어지면, 외부의 나쁜 기운에 제대로 저항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럴 때 목이 붓거나 콧물 기침 가래 등의 증상들이 생긴다. 원래 콧물이나 기침은 나쁜 이물질을 바깥으로 배출시키는 정상적인 반응이지만, 증상이 너무 과도하게 나타나면 이 또한 2차적인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치료해주는 것이 좋가을철 ‘한방 건강법’일반적으로 마르고 건조한 기침을 하는 경우에는 우리 몸의 진액을 수렴해주는 ‘오미자’를 차처럼 우려서 먹으면 좋다. 만약 목 안이 붓고 침 삼키기가 힘들면서 기침을 할 땐 ‘도라지’를 달여서 먹으면 도움이 된다. 기침 가래가 심한 경우에는 ‘더덕’을 응용해 보는 것도 좋다.
계절이 바뀌면서 아토피 피부염 증상이 심해 고생하는 사람이 많다.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제를 써도 듣지 않으면 ‘면역억제제’까지 처방하는 경우가 있는데, 한의학에서는 오히려 외부환경과 적응하는 능력을 보강하는 쪽으로 치료한다. 체질에 맞춰 녹차나 기타 한약재로 목욕을 하거나 한방 연고를 바르기도 한다.
평소 손발이 찬 사람은 이 시기에 증상이 더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우리 몸의 팔다리가 외부의 차가운 기운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생기는 현상이기에, 손발까지 순환이 잘되도록 운동과 마사지를 하거나 경락의 흐름에 맞춰 침 치료나 추나 치료를 하면 좋다.
또한 배가 차서 손발까지 따뜻한 기운을 보내주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때는 배 속을 따뜻하게 해주면서 장에 있는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인삼’을 복용하면 좋다. 하지만 지금까지 언급한 모든 재료는 체질과 증상에 맞춰 써야 안전하고 효과적이기 때문에, 미리 주치 한의사의 조언을 얻어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방치료는 먼저 규칙적인 생활 리듬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매일 같은 시간에 기상하고 취침하며 균형 잡힌 식사를 하고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좋다. 특히 가을 햇살을 즐기며 산책을 하는 것은 기분 전환에 도움이 된다. 햇볕을 쬐면 행복 호르몬인 세로토닌 분비가 증가해 우울증 예방에 효과적이다.
가을철에는 따뜻한 성질의 한방차를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된다.대추차는 심신을 안정시키고 불안감을 해소하며 숙면을 유도한다. 생강차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해 기분 전환에 효과적이다. 국화차는 머리를 맑게 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효과도 있다.건강한 생활습관과 꾸준한 셀프 케어를 통해 가을철 마음 건강을 지키고, 몸과 마음이 모두 풍요로운 가을을 보내도록 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