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청년층 “팁 문화 과하다”…생활비 부담 속 불만 고조

Unsplash의 Sam Dan Truong

캐나다에서 팁 문화가 과도하게 확산되고 있다는 불만이 특히 청년층 사이에서 커지고 있다. 식당뿐 아니라 농장, 편의점, 물리치료 클리닉 등 예상치 못한 곳까지 팁 결제창이 등장하면서 생활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에드먼턴에서 대학을 다니는 22세 렌 알바(Ren Alva)는 최근 친구들과 딸기 따기 농장을 찾았다가 계산대에서 팁을 요구받았다. 그는 “우리가 직접 수확을 했는데 왜 팁을 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며 “돈이 어디로 가는지도 알 수 없었다”고 말했다.

뉴브런즈윅 세인트존에 사는 24세 제이콥 버리스(Jacob Burris) 역시 “팁은 서비스의 질에 따라 주는 것”이라며 “그저 일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의무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부당하다”고 비판했다.

세금 준비업체 H&R 블록 캐나다가 2월 실시한 전국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상당수가 팁 문화가 지나치게 확산됐다고 답했으며, 특히 18~34세 청년층에서 불만이 두드러졌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과거보다 훨씬 다양한 장소에서 팁 요구를 목격했다고 밝혔다.

토론토 메트로폴리탄대학 학생 아디티 로이(Aditi Roy)는 “팁이 20%까지 요구되는 건 과도하다”며 “내지 않으면 죄책감을 갖게 되는 구조 자체가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홍콩과 중국에서 성장하며 팁 대신 서비스 요금제를 경험했다며, 캐나다도 비슷한 모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전직 웨이트리스 밀리 스콰이어스(Milly Squires)는 팁 문화가 단순히 서버 개인의 보상 차원을 넘어선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부 식당에서는 서버가 받은 팁을 안내원, 주방, 바텐더 등과 나누는 시스템을 운영한다”며 “손님이 팁을 주지 않으면 오히려 서버가 자기 돈으로 일정 금액을 부담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대형 체인점 맥도날드는 팁을 받지 않는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팀워크 중심의 근무 환경에서 개별 직원을 보상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물가 상승과 임금 정체가 맞물리며 팁이 사실상 ‘준조세’처럼 작동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일부는 유럽식 서비스 요금제 도입을, 또 일부는 근본적으로 서비스 노동자의 임금을 인상해야 한다는 대안을 제시한다. 로이는 “임금은 오르지 않는데 생활비만 급등하면서 종업원들이 팁에 의존하도록 방치되고 있다”며 “이 구조 자체가 심각한 경제적 불균형을 낳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