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카니(Mark Carney) 캐나다 총리가 지난 10일 연방 정부의 ‘탈(脫)미국 의존’ 경제 전략의 일환으로 첫 대형 산업 프로젝트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카니 총리는 이들 사업을 통해 국내 경제를 “터보차지”하겠다며, 원주민과의 협력 및 기후 대응 목표와 연계해 국가적 변화를 이끌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카니 총리는 에드먼턴에서 열린 자유당 의원단 연찬회 연설에서 “지역을 연결하고, 생산품을 다각화하며,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수십만 개의 고임금 일자리를 창출하는 국가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계획이 단순한 경기 부양책이 아니라 “캐나다 경제의 궤적을 바꾸는 변혁적 프로젝트”라며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연방 정부는 동시에 ‘대형 프로젝트 사무국’ 산하에 11명의 원주민 지도자가 참여하는 자문위원회를 신설한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 원주민 권익을 반영하고 이해관계 조율에 나설 예정이다.
다니엘 스미스(Danielle Smith) 알버타 주 총리는 같은 날 기자회견에서 이번 1차 프로젝트 명단에 송유관이 포함되지 않더라도 큰 우려는 없다고 밝혔다. 다만 연방 정부가 석유·가스 업계 투자를 이끌려면 규제 완화가 선행돼야 한다며, 서부 연안 송유관 운송 금지와 온실가스 배출 상한제 폐지를 다시 요구했다.
이번 발표는 미·캐 통상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캐나다가 대미 의존을 줄이고 무역 다변화 및 자원 안보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카니 총리는 최근 “캐나다는 세계적 에너지 초강국이 될 수 있다”며, 이를 위해 유럽·아시아 등과의 협력 확대를 추진해왔다.
그러나 이번 전략이 캐나다의 기후 목표 달성에 어떤 영향을 줄지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다. 정부는 올가을 ‘기후 경쟁력 전략’을 별도로 발표하겠다고 예고했으나,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2005년 대비 40% 감축한다는 파리협정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자유당 내 일부 의원들은 목표를 지켜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긴장감을 드러냈다.
야당은 카니 정부의 발표에 즉각 반발했다. 피에르 폴리에브르(Pierre Poilievre) 보수당 대표는 “카니 총리가 공언했던 대형 프로젝트들은 여전히 구체적으로 가동된 것이 없다”며 “이번 전략 역시 실행력보다는 보여주기에 그칠 위험이 크다”고 비판했다. 신민주당(NDP)도 “기후와 원주민 권리를 보장한다는 약속이 단순한 수사에 그치지 않도록 구체적 이행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카니 총리는 이와 함께 내주 주택 건설 전략을 발표하고, 올가을에는 무역 다변화 전략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9월 발표될 첫 연방 예산안은 대규모 지출 확대와 긴축 조치가 혼합된 형태가 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