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1 – 월경불순에는 온경탕(溫經湯)

자궁의 기능이 정상적이지 못하면 월경주기가 일정하지 못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월경은 28일간격으로 7일간 지속되는 것이 반복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월경날짜가 앞당겨지거나 늦어지기도 하고 양이 많아지거나 적어지기도 한다. 월경이 짧아져 3-4일만에 끝나기도 한다. 이 같은 월경불순에 쓰이는 한약이 온경탕(溫經湯)이다. 월경을 조절하기에 조경산(調經散)이라고도 부른다. 월경불순의 흔한 원인은 정신적, 심리적 불안이다. 과도한 스트레스 후에 월경불순이 발생하기 쉽다. 신경을 많이 쓰면 생리가 빨라지거나 늦어지거나 혹은 건너뛰기도 하는 등 생리주기의 변화가 발생한다.

 한의학에서는 월경이 앞당겨 나오는 것은 열 때문이며 뒤로 늦춰지는 것은 기(氣)의 부족 때문으로 본다. 어혈이나 피의 부족으로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 월경전의 통증은 어혈로 인한 것이며 월경이 시작하고 난 후의 통증은 허증(피 부족)으로 본다.

 온경탕은 맥문동으로 진액을 보충하며 당귀와 천궁, 목단피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아교로 피의 부족을 개선한다. 인삼으로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백작으로 진정작용을 하고 오수유, 육계로 몸을 따뜻하게 하면서 피의 순환을 활성화 시킨다. 그러므로 온경탕은 몸이 건조하고 자궁의 피 순환장애가 있고 아랫배가 차거나 손발이 찬 허냉의 증상이 있는 여성에게 적합한 처방이다. 불임, 월경통 등 월경과 관련된 여드름 등의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유산이나 수술한 이후에 발생한 체력저하로 인해 자궁기능이 약해졌을 때에도 온경탕을 처방할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월경의 상태가 여성의 건강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여성들은 건강을 위해서 월경의 상태를 확인하고 만약 부조화가 있을 때는 적절한 한방치료로 건강을 유지하기 바란다.

 월경불순을 예방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냉장된 음식이나 찬 성질이 있는 음식을 줄인다. 스시, 샐러드, 오이, 토마토, 아이스크림, 찬 음료 등이 그것이다. 아연(Zinc), 비타민B,E 등이 포함된 영양제는 좋다. 아연의 부족이 월경불순의 요인이 된다.

 차가운 환경에 몸을 많이 노출하는 것도 좋지 않다. 특히 생리 전후에 몸을 따뜻하게 하고 평소 따뜻한 생강차, 계피차 등을 마시자. 평소 생리통이 아주 심한 여성분들은 생리시작 1주일전부터 찬 음식을 먹지 말고 생강차를 자주 마시길 권한다. 그러면 생리통이 반 이하로 줄어든다. 한의학에서는 탕약, 가루약, 캡슐로 된 한약으로 생리통을 치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