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는 못 먹거나 먹는 것이 부실하여 빈혈이 발생한다고 생각했지만 요즘에는 영양의 불균형섭취에서 초래되는 경우가 많다. 평균체중이 늘어나면서 살을 빼기 위해 운동을 하고 사우나에서 땀을 빼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빈혈이란 혈액 속에 적혈구나 헤모글로빈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혈액의 절대량이 감소되었다는 것도 의미하지만 단위용적의 혈액 중에 혈소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경우를 뜻한다.빈혈증상은 안색이 창백해지고 입술이나 결막에 붉은빛이 적어지며 약간의 운동에도 가슴이 두근거리고 숨이 차는 것을 느끼게 된다. 피로와 권태가 심하고 사고력이 감퇴하며 졸림 현상이 자주 오기도 한다. 종종 두통과 현기증이 있고 어깨가 쑤시고 시력장애를 호소하며 심할 때는 실신, 구토, 헛트림, 딸꾹질 등을 경험한다. 가끔 뇌빈혈을 일으켜서 넘어지는 수도 있다. 혀와 구강점막이 건조해지며 대변은 변비로 바뀌는 수가 많다. 손발 끝이 차고 오줌 양이 증가하며 손발에 부종이 나타나며 출혈이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각기나 심장병 혹은 신장병으로 혼돈하기도 한다.
신경성빈혈일 경우는 혈액검사상 적혈구수는 정상으로 나타나지만 앉았다 일어나면 어지럽고 머리가 무거워지며 눈앞에 별이 보이는 증상이 있다. 빈혈의 치료는 먼저 그 원인을 분석하여 병인을 제거하는 것이 선결과제인데 안타깝게도 아직까지 의학적으로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종류도 많이 있다.
실혈성빈혈, 신성빈혈, 십이지장충성빈혈, 암성빈혈 등은 그 원인이 밝혀져 있지만 철결핍성빈혈, 용혈성빈혈, 악성빈혈, 재생불량성빈혈 등은 아직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 과거에는 악성빈혈에 걸리면 거의 죽는 것으로 생각했으나 지금은 거의 완치되고 있다. 이병은 비타민B12의 흡수장애로 발생되기 때문에 비타민B12의 보충으로 해결되고 있다.
철결핍성빈혈은 체내에 철분이 부족하여 생기는 빈혈이다. 특히 사춘기여성, 임신이나 출산 후의 여성, 폐경기에 가까운 부인들 중에서 많이 발생한다. 간혹 위장 카타르가 있거나 위장절제수술을 받은 사람에게서도 가끔 볼 수 있다. 철결핍성빈혈은 손톱의 변형을 일으키는 수가 많고 때로 혀에 염증이나 연하(상킴) 곤란을 일으키는 수가 있다. 뜨겁거나 맵고 짠 것을 먹으면 혓바닥이 쓰리거나 음식물을 삼킬 때 목구멍에 걸린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철결핍성빈혈 치료는 철분 제를 1-2개월 투여하면 치유된다.
한의학에서는 옛날부터 빈혈을 망혈이라고 부르고 다스려 왔다. 망혈은 모든 혈(血)과 관련된 질병의 한 분야에 속한다. 이는 근본치료를 바탕에 두고 있으므로 빈혈자체가 큰 질환으로 분류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조혈력의 회복과 영양균형을 바탕에 두고 혈(血)과 허(虛)를 보완하는 보혈(補血)처방들이 응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