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실금이란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자신도 모르게 소변이 나와 속옷을 적시게 되는 현상이다. 요실금은 남성보다 여성이 발생빈도가 높다. 요실금은 보통 노년의 나이에만 오는 것이라고생각하기 쉬우나 일반적으로 나이에 상관없이 온다. 즉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빈도가 증가하는 것뿐이다. 여성은 출산횟수가 많을수록 요실금 발생가능성도 높아지고 폐경이 되면 생식기에 위축성 변화로 요실금 가능성이 높아진다.
요실금을 겪고 있는 분들은 늘 불안하다. 밤에도 자주 깨어서 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없다. 요실금의 종류는 진성요실금, 복압성요실금, 절박성요실금 그리고 역류성요실금이 있다.
진성요실금은 특별한 자극이 없는데도 계속 소변이 새는 증상으로 주로 요도괄약 근의 손상이 그 원인이다. 복압성요실금은 요도와 방광을 지지하는 골반근육이 약해지거나 요도 자체의기능이 떨어져 요도의 닫히는 능력이 약해지는 경우 발생한다. 기침 등 복압이 올라갔을 때 더욱 발생한다. 절박성요실금은 소변을 보고 싶을 때 소변을 참지 못한다. 갑자기 소변이 마려운느낌이 있고 화장실에 가는 도중 소변이 흘러나오는 경우로 방광에 소변이 충분히 차지도 않은 상태에서 방광이 저절로 수축하여 발생한다. 역류성요실금은 방광에 소변이 가득 넘쳐 흘러서 발생한다. 주로 뇌졸중, 척추손상, 파킨슨씨병, 다발성경화증 등 방광과 요도를 지배하는 대뇌, 척수, 말초신경을 침범하는 신경질환으로 인해 발생한다.
한의학에서는 요실금을 신장의 기가 허해져서 방광이 배뇨를 통제하지 못하여 발생한다고 본다. 한약을 비롯하여 침 치료, 약 침, 뜸 등을 이용하여 방광괄약 근의 기능을 강화 시켜주고있다. 즉 신허(腎虛)시에는 청이습열(淸利濕熱) 시키는 처방을 응용하면 효과가 있다. 또한 하복부의 냉기를 제거하여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개선한다. 골반근육을 강화하므로 야간뇨를 치료하여 삶의 질을 높여준다.
요실금 예방법: ①골반근육운동 – 발을 어깨 폭으로 벌리고 항문을 조이는 운동을 매일 100번씩 3회 실시한다. ②규칙적인 배뇨습관 – 소변을 참으면 방광염이 될 수 있다. 하루 4-6회정도배뇨하는 것이 좋다. ③음식조절 – 기름기 있는 음식은 피하고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먹자. ④비만교정 – 요실금 환자 중에 자신이 비만이라고 생각되는 분은 다이어트를 해볼 필요가 있다. ⑤변비치료 – 변비가 심하면 복압이 올라 요실금이 생긴다. 장내의 가스를 제거하자. ⑥금연 – 흡연은 기침을 유발하며 방광을 자극하여 요실금이 심해진다. 담배를 끊자. ⑦만성기침관리 -기침을 하면 복압이 상승된다. ⑧적당량의 수분섭취 – 물을 적게 마시려고 하는 경향이 있는데 적당히 마시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