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에는 춥고 건조한 날씨와 바람, 외부와 실내의 급격한 기온 차로 인한 현격한 온도변화, 난방으로 인한 건조한 실내대기 등으로 인한 피부질환으로 피부건조증, 각피 증, 홍조현상 및아토피피부염이 악화 또는 유발될 수 있다.
피부건조증: 중년층이 후에 흔히 나타나며 주로 다리와 정강이 부위에 각질이 생기면서 가렵다. 심한 경우 피부가 갈라지고 자극증상을 호소하기도 한다. 특히 온천이나 뜨거운 물에 오랫동안 노출된 경우, 사우나, 찜질 방은 물론 세정력이 강한 비누로 자주 목욕하는 경우 악화되기도 한다. 심한 경우에는 각질완화 제를 바르면 호전된다. 자극이 적은 비누를 사용하고 목욕시간이나 횟수를 줄이고 미지근한 물을 사용해야 하며 피부의 수분과 지질의 균형을 유지시키며 보습제를 반드시 사용한다.
각피 증: 발꿈치나 팔꿈치, 발바닥에 각질이 일어나 두껍게 생겨 갈라지고 피가 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손이나 발바닥은 각질층이 가장 두껍고 피지선이 없으며 만성적으로 외부의 자극이나 마찰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잦은 세정은 삼가는 것이 좋다. 유분이 많은 보습제를 수시로 사용하고 각질제거 제 및 완화 제 등을 꾸준히 사용하면 호전된다. 심한 경우는 각질을 따뜻한물에 불려 살짝 제거한 후 각질용해 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홍조현상: 추운 곳에서 갑자기 더운 실내로 들어 오거나 과격한 운동 후 얼굴이 쉽게 붉어지고 화끈거리며 정상상태로 돌아오는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를 홍조현상이라고 한다. 만성피부염이나 의사의 처방 없이 피부연고제를 함부로 남용한 경우나 갱년기 여성에서 모세혈관이 확장되면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급격한 온도변화나 사우나, 일광노출, 술 등을 삼가야 한다. 혈관을선택적으로 수축시키거나 파괴하는 혈관레이저치료를 받을 경우 증상이 완화된다. 한의원에서도 침술레이저요법을 적용한다.
아토피피부염: 겨울철에 악화되거나 재발하는 경우가 흔하다. 날씨 등의 환경적요인 이외에도 자극이 심한 털, 모직으로 된 의복을 입으면 증상이 악화되므로 부드러운 면제품 옷을 입어야한다. 겨울철에는 난방으로 인해 실내가 건조해지므로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토피피부염은 가려움증이 가장 기본적인 증상이므로 재발과 악화의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소양증을 완화시키는 항히스타민 제, 항알러지제 등을 복용하는 것이 좋다.
겨울철에는 자외선 차단에 대해 소홀해지기 쉽다. 자외선의 강도가 여름보다는 약해졌으나 겨울철 레저활동이 많아지고 지속적으로 일광에 노출됨으로써 발생하는 피부질환이나 광노화등의 현상이 많아진다. 자외선차단제는 꾸준히 바르도록 하고 보습제도 충분히 사용하면 예방에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