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의학은 많은 부분에서 예방의학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한방의 최고(最古)의서인 ‘황제내경’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음식, 운동 및 정신적 수련 등을 통하여 변화하는 외계기후환경 등에 대한 인체의 적응력을 조절함으로써 질병의 발생을 방지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미 발생한 질병을 다스리기 보다는 사람의 허(虛)한 장부(臟腑)를 파악하여 병이 들기 전에 예방할 수 있는 사람을 훌륭한 의사라고 하였다. 예를 들면 심장에 병이 있으면 폐로 파급될 것을 미리 알아서 먼저 폐를 튼튼하게 하는 것인데 이것을 현대의학적으로 표현하자면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것이다. 한방치료의 원칙은 특정한 병균이나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신체의 전면적인 치료를 실시하는 것이다. 환자의 체질과 오장육부의 허(虛)와 실(實)을 먼전 진단한다. 이는 병든 사람의 항병력(抗病力)과 면역력의 높고 낮음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이다.
감기가 오래되어 기력이 떨어졌을 때 병사를 쫓아내는 감기약에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쌍화탕을 배합하여 투여하면 빠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외와 같이 보약과 치료약재를 적절히 혼합하여 투여함으로써 환자로 하여금 면역력을 증가시켜 병을 퇴치시킨다. 병이 치유된 후에도 환자를 진찰하여 장부에 허약증이 있다고 진단되면 여기에 알맞은 보약을 투여하여 병의 재발을 방지한다.
보약의 약리작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해본다.
1) 보약은 인체의 장기조직을 자극하여 약해진 기능을 높여주며 몸에 필요한 여러 가지 영양물질을 보충해준다.
2) 보약은 정신적, 육체적 활동능력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3) 보약은 생체의 저항력을 높여 질병으로부터 보호한다.
4) 보약은 노화과정을 늦추어 주며 세포의 재생과 정력을 촉진시킨다.
5) 보약은 몸의 기능을 조절하여 앓고 있는 질병들을 낫게 작용한다.
그러나 보약이라고 하여 무조건 좋다는 약제 ‘십전대보탕’만을 복용한다고 해서 면역력이 증강되는 것은 아니다. 체질의 음양(陰陽)을 정확히 구분하고 허(虛)한 경우에는 기허(氣虛), 혈허(血虛), 양허(陽虛), 음허(陰虛) 상태가 어떤지, 오장육부 중 어느 장기가 면역력이 저하되어 허한 상태인가를 한의사의 진찰을 받은 후 보약을 복용해야 한다.
항간에는 개소주나 흑염소가 몸에 좋다고 하여 정확한 진찰 없이 임으로 한약재와 혼합 복용하여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나 비만 등을 초래함을 보게 된다. 이는 허(虛)한 장기의 면역력을 증강시킨 것이 아니라 반대로 실(實)한 것을 잘못 보강하여 인체음양의 불균형을 더욱 심하게 하였기 때문이다.
치료가 아닌 예방목적의 보약을 쓰는 횟수와 기간은 성인의 경우 1년에 2-3회정도로 1회에 1-2제씩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