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2일부터 31일까지 제 11회 캐나다 한국 영화제(KFFC)를 마치며

제11회 캐나다 한국 영화제(KFFC)는 관객들의 뜨거운 성원에 힘입어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습니다. 올해는 “예술과 기술: 수면, 꿈, 신체” 주제로 5월 22일부터 5월 31일까지 동서양을 아우르는 아시아-캐나다와 아시아 영화 및 미디어 예술을 한자리에 모아 현지 관객과 국내외 예술가들을 연결했습니다. 아시안 및 아시아계 캐나다인 영화와 엄선된 아시아 미디어 아트를 현장과 온라인에서 선보일 수 있었습니다.

내년, 2025년도에 제12회 캐나다 한국 영화제가 5월 15일~5월 31일 사이에 찾아올 예정입니다. 더많은 소식과 업데이트를 받기 위해서 저희 소셜미디어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링크드인)를 팔로우해주시고 뉴스레터를 구독해주세요.

제 11회 캐나다 한국 영화제에서의 중요한 이벤트 및 상영회를 소개합니다:

<5월 22일부터 24일까지 Dazibao에서의 상영회>

Dazibao에서의 1일차 (5월 22일)
제 11회 KFFC의 첫째 날이 5월 22일에 Dazibao에서 성공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직접 ART-Talks을 위해 방문해주신 감독과 아티스트들: Eli Jean Tahchi, George Fok, and Kě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또한, Ahreum Lee, Daphné Le Sergent, KIM Dongryung, and PARK Kyoungtae의 축사도 받았습니다! KFFC Ecology의 활동 일환으로 직접 만든 한국 음식을 가져다준 이미정님과 Janet Lumb에게도 감사드립니다.

첫째 날에는 아레 제시된 5개의 아시아계 퀘벡인의 단편이 포함된 아시아 단편 영화와 미디어 아트프로그램 1을 선보였습니다.

한글 (1967, 한국, 캐나다)은 김인태가 제작한 한국어 알파벳에 대한 다채로운 소개 작품이며, 싱가포르 출신 아티스트 Niceaunties의 4 Films (2023, 싱가포르), 그리고 한국 출신, 몬트리올 기반 멀티미디어 아티스트 kimura byol lemoine의 TTT (2024, 퀘벡)와 같은 작품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Razan Alsalah의 Canada Park (2020, 팔레스타인, 퀘벡), Eli Jean Tahchi의 Des voisins dans ma cour(2021, 레바논, 퀘벡), George Fok의 Mongkok Babylon (2021, 퀘벡), Chun Hua Catherine Dong의 Along Together(2018, 퀘벡) 및 Yoriko Mizushiri의 Anxious Body (2021, 일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상영 후에, 우리는 Eli Jean Tahchi, George Fok 및 Kě와의 직접 대면 ART-Talk를 진행했습니다. 우리는 Eli Jean Tahchi가 몬트리올의 Parc-Ex 및 Mont-Royal 지역을 탐구하면서 도시 계획에 의해 만들어진 사회적 분열과 관련하여, George Fok이 홍콩의 정치에 대한 논평에 대해 논의했으며, Kě가kimura byol lemoine의 단편 영화 TTT에서 명확히된 성별, 인종 및 정체성과 관련된 트랜스 경험과커뮤니티로써의 관계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Dazibao에서의 2일차 (5월 23일)
5월 23일 Dazibao에서 열린 제 11회 KFFC의 둘째 날은 많은 감독, 예술가 및 관중들 덕분에 성공적이었습니다! 저희는 직접 ART-Talks을 위해 방문해주신 감독과 아티스트들: Xiaodan He, Elmira Laki, 그리고 Fanny Lord-Bourcier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둘째 날에는 My Father’s Journey (2020)와 아래 제시된 2명의 아시아계 퀘벡인이 포함된 6개의 아시아 단편을 선보인 아시아 단편 영화와 미디어 아트 프로그램 2을 상영했습니다.

My Father’s Journey (2020)는 중국계 퀘벡 예술가 Xiaodan He의 다큐멘터리 영화입니다. 감동적이고 개인적인 이 장편 영화는 인구 30만 명의 중국 소수민족인 나시족의 후손인 총런허(Chong Ren He)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아시아 단편 영화와 미디어 아트 프로그램 2에는 Elmira Laki의 Yesterday (2022,퀘벡), Maïté Minh Tâm Maeum Jeannolin의 SEOLMUNDAE(2023,프랑스,한국), Yen Chao Lin의 The Spirit Keepers of Makuta’ay (2018,퀘벡), Jane Jin Kaisen의 Burial of this Order (2022, 덴마크, 한국), Daphné LeSergent의 Voyages dans nos Indes intérieures (2019, 프랑스, 한국) 및 Fanny Lord-Bourcier의Abby (2023, 퀘벡)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화 상영 후, 대면 ART-Talks를 진행하였습니다. Xiaodan He, Elmira Laki, 그리고 Fanny Lord-Bourcier 감독들과 직접 대화를 하며 이민자 관점, 이주 정치, 입양 및 정체성, 그리고 퀘벡 여성 영화제작자들의 고난과 성취에 대해 깊이 있는 토론을 나눴습니다.

Dazibao에서의 3일 차 (5월 24일)
제 11회 KFFC의 3일차에는 Anthony Shim의 Riceboy Sleeps(2022, 캐나다)와 설수안 감독의 씨앗의시간 (2022, 한국)을 상영하였습니다. Riceboy Sleeps(2022)는 감동적이고 강력한 영화였으며, 관객과 스태프들을 눈물바다로 만들었습니다. 동-서아트(Arts East-West)에서는 씨앗의 시간을 실제 관객들을 대상으로 상영할 수 있어서 좋았고, 이전에 AAPlab의 3차 컨퍼런스 회의 “Surface Tension: Popular K-Arts vs Korean Arts in the Hallyu Era.” 에서 이 영화를 온라인으로 상영했습니다.

<5월 25일 Cinéma Moderne에서의 성공적인 오프닝과 5월 30일-31일 영화
상영>

5월 25일 Cinéma Moderne에서의 성공적인 오프닝!
제 11회 KFFC는 5월 25일에 Cinéma Moderne에서 화려한 오프닝을 가졌습니다. 오프닝 칵테일과KFFC Chef의 “비빔밥” 워크숍을 즐겨주신 모든 예술가와 관객에게 감사드립니다. 아름다운 테라스와 극장을 제공해준 Cinéma Moderne에도 많은 감사를 드립니다. Arts East-West Ecology 일환으로첫 번째 KFFC Chef 워크숍에서 직접 만든 한국 음식을 제공해준 저희의 창립자이자 디렉터 이미정님과 Accès Asie Festival의 공동 창립자인 Janet Lumb에게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KFFC 이사회원이자 Multi-Monde의 영화 프로듀서이자 International Women’s Alliance의 회장인Marie Boti, ICAO 이사회의 대사 및 영사 대표인 이재완 대사님, Cinéma Moderne의 프로그래밍 매니저인 Benjamin Pelletier, 그리고 이미정님의 따뜻한 환영의 말씀도 감사드립니다.

우리는 “East Meets West” 카테고리의 영화 두 편을 상영했습니다: 홍상수 감독의 물안에서 (2023년, 한국)와 HOU Hsiao-hsien감독의 A Time to Live and a Time to Die (1985년, 대만). 관객들의 아시아 영화에 대한 사랑과 열정으로 상영회는 만석이였습니다.

5월 30일 Cinéma Moderne에서 영화상영
5월 30일 고양이를 부탁해 상영 5월 30일, 제 11회 KFFC에서 정재은 감독의 상징적인 영화 고양이를 부탁해 (2001, 한국)를 상영하였습니다. 관객들로 꽉 찬 Cinéma Moderne에서 리마스터링된 버전의 영화를 상영할 수 있어서 정말 기뻤습니다.
5월 31일 Cinéma Moderne에서의 KKFC 마지막 상영
5월 31일, 제 11회 KFFC에서는 김동령과 박경태 감독의 캐나다 최초의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2019)를 상영했습니다. 상영 전에 김동령 감독과 박경태 감독의 비디오 환영 인사가 있었는데, 이는 이 감동적인 다큐-픽션 영화를 관람하는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해주었습니다.

이후에는 태국의 유명한 감독인 Apichatpong Weerasethakul의 Cemetery of Splendour (2015)를 상영했습니다. 올해 영화제 주제인 “예술과 기술: 수면, 꿈, 신체”에 따라,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2019)와Cemetery of Splendour(2015)는 모두 전쟁의 영향을 받은 군인과 여성의 주관성을 수면 상태를 통해나타내며, 깨어 있는 삶과 환상 사이의 흐릿한 경계를 보여줍니다.

제 11회 KFFC 워크숍 및 이벤트

5월 1일 Yutong Lin 전시
제 11회 캐나다 한국 영화제(KFFC)의 시작을 기념하여, 우리는 Ada X에서 제 11회 KFFC x HTMlles 2024: Acts of Movement를 진행하였습니다. HTMIles 축제의 Acts of Movement 그룹 전시와 협력하여, 아티스트 인 레지던스, Yutong Lin이 HTMlles 축제 개막식인 5월 1일 수요일 오후 6시부터 9시까지 자신의 레지던시 프로젝트 “Jing’s Poetic Cartography” 일환으로 “The Recipe Book”을발표하였습니다. 또한, Yutong Lin이 특별한 비건 식사를 제공하였습니다. “Acts of Movement” 는다양한 예술적 표현을 통해 인간 경험을 탐구하며, 변화, 기억, 변신을 중심으로 인간의 경험을 탐구합니다.

5월 15일 스크린 인쇄 아트 워크숍
신진 작가들을 위한 스크린 인쇄 아트 워크숍이 지난 5월 15일 La Bourgeoise Sérigraphe에서 유명한스크린 인쇄 아티스트인 Iris Sautier와 함께 개최되었습니다. KFFC 직원들과 참가자들이 하루 동안워크숍에 참여하며 제11회 KFFC 2024를 위한 핸드메이드 포스터, 토트백, 그리고 직원 티셔츠를 제작했습니다. 색상과 디자인을 선택하고 스크린 인쇄를 직접 체험해보면서 영화제 시작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더 커졌습니다! 이 워크숍 덕분에 KFFC 11주년을 기념하여 핸드메이드 포 스터와 토트백을 굿즈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또한, 영화제를 방문해주신 분들께서 구매해주셔서 감사합니다.

5월 28일 Jenny Lin과의 Dreamzine 워크숍
제11회 KFFC는 맥길대학교의 Moving Image Research Lab’s Sociability of Sleep 프로젝트와 협력하여 5월 28일 Ada X에서 몬트리올의 비주얼 아티스트 Jenny Lin과 함께 “드림진 (Dreamzine)”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워크숍은 수면과 꿈에 대한 경험을 나누고 이를 핸드메이드 Zine으로 제작하는 사람들로 가득했습니다!

워크숍은 Audrey Jiang이 제공한 ‘Sleep Food’로 시작되었습니다. 수제 주먹밥, 절인 가지, 다채로운샐러드와 맛있는 과일이 음식에 포함되었습니다. 따뜻한 차와 된장국이 제공되어 모두가 서로의 꿈과 수면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고 창의적인 zine 제작 활동을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 후 Jenny Lin은 주로 인쇄기반의 설치 작품, 아티스트 북, zine의 형태로 자신의 실험적인 내러티브와 자전적 소설을 소개했습니다. Jenny는 다양한 유형의 핸드메이드 zine을 시연했습니다. 모든 참석자가 자신만의 zine을 만들고 짧은 글쓰기와 그림 그리기 활동에 참여했습니다. 재미있고 창의적인 행사를 위해 영화제와 협력해 주신 Jenny Lin, Audrey Jiang, Ada X와 Sociability of Sleep 팀에게정말 감사하다는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wehandmadekffcc

5월 29일 ADBC 대면 네트워킹
제 11회 KFFC는 지난 5월 29일 Ada X에서 AAPlab (Asian Art Publication Lab)의 Asian Diaspora Book Collective(ADBC) 대면 네트워킹 행사를 가졌습니다. Joseph Han의 소설 Nuclear Family의마지막 장을 마무리했습니다. 아시아 디아스포라 관점, 남북한 관계, 하와이, 샤머니즘, 유령, 음식,국경 횡단과 관련된 주제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동료 예술가와 대중들이 함께 개인적인 삶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멋진 시간이었습니다. 훌륭한 네트워킹 이벤트를 제공한 Ada X 팀, ADBC 회원분들 그리고 KFFC 직원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ADBC는 도서 추천, 프로젝트 및 공동 작업에 대한 아이디어, 초청 연사에 대한 제안을 항상 받고 있습니다! 국가나 문학 형식에 제한을 두지 않고 아시아 디아스포라 작가들의 책에 특히 관심을 두고있습니다.
다음에 다룰 책은 Lisa Wool-Rim Sjöblom의 Palimpsest: Documents From a Korean Adoption입니다. Palimpsest는 작가가 스웨덴 입양인으로서 한국에서 친부모를 찾으려고 했던 경험을 담은 그래픽 소설이자 회고록입니다.

다음 모임은 6월 8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12시까지 Zoom에서 진행됩니다. ADBC Discord 가입과같은 혜택을 받으려면, 격주 토요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12시까지 Zoom으로 진행되는 ADBC 모임에 3회 이상 참석해주세요. 구글폼을 통해 가입하고 Facebook과 Instagram을 확인해주세요: Google form Facebook AAPlab Instagram KFFC Instagram

5월 29일 이아름 워크숍 및 ART-Talks
제 11회 KFFC는 지난 5월 29일 Ada X에서 이아름 작가와 워크숍 및 ART-Talk를 진행했습니다. 이아름은 자신의 작품을 통해 귀신, 유령, 여성 문제를 어떻게 개념화하는지에 대해 공유해줬습니다.이아름은 Gui, the Ghost, Bun Shin Sa Ba, Multiple Selves 작품과 초기 영상 작품, 그리고 대중과 함께하는 인터랙티브 컴퓨터 게임을 선보였습니다. 이아름의 컴퓨터 게임 제작 과정, 아시아 공포영화에 등장하는 여성들의 고군분투, 음악가이자 학제간 미디어 아티스트로서의 그녀의 여정에 대해 좋은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재미있고 다양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워크숍과 ART-Talk를 진행해준 이아름 작가님, Ada X팀 그리고 KFFC 직원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제 11회 KFFC 마무리 피크닉

제 11회 KFFC를 마무리하기 위해, 아티스트, 감독, 자원봉사자, 스태프, 그리고 대중 모두에게 열린포트락 피크닉을 주최했습니다! 이미정, Janet Lumb, Annabelle Kang, Jenny Lin이 요리를 준비해줬습니다! 피크닉 중에 아시아 수채화 워크숍을 진행해 준 Masoud Raouf 감독님에게 감사드립니다!

퍼블릭 어워드 발표

올해의 동-서아트 (Arts East-West) 퍼블릭 어워드 수상자가 결정되었습니다! 현금 100$와 보자기*를 수상한 수상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재은 감독의 고양이를 부탁해 (2001, 한국) – “East Meets West” 부문
Apichatpong Weerasethakul의 Cemetery of Splendour (2015, 태국) – “Side by Side” 부문
Fanny Lord-Bourcier의 Abby (2023, 퀘벡) – “Spotlight: 아시아 퀘벡영화 및 미디어 아트” 부문 Yoriko Mizushiri의 Anxious Body (2021, 일본) – “아시아 단편 및 미디어 아트” 부문

모든 수상자들에게 축하의 말씀과 축하금이 전달됩니다. 특별 언급으로는 “Spotlight: 아시아 퀘벡영화 및 미디어 아트” 부문에서 Xiaodan He의 My Father’s Journey (2020)와 “Side by Side” 부문에서Anthony Shim의 Riceboy Sleeps (2022)가 있습니다.
*한국에서 가져온 실용적인 리넨 천으로, 선물, 음식, 침대 및 테이블과 같은 항목을 덮고 보관하는데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