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에는 안구건조증, 눈 충혈, 결막염 등의 눈 질환으로 한의원을 찾는 환자들이 늘어난다. 갑자기 풀린 온도와 높은 일교차, 꽃샘추위로 인한 변덕스런 날씨 그리고 건조한 공기 등은 각종 눈 질환을 일으킨다.
밤낮의 길이가 바뀌는 등 자연의 리듬이 변화하면서 이에 미처 적응하지 못한 인체의 면역력이 떨어진 탓에 춘곤증이 생기는 것처럼 저하된 면역력은 봄철 안구건조증을 불러온다.
안구건조증으로 내원하는 환자들은 눈이 따갑고 뻑뻑하며 쿡쿡 쑤시는 증상을 호소한다. 눈이 시리다거나 이물감, 건조감 때문에 업무에 집중할 수 없다는 경우도 흔히 볼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이와 같은 안구건조증의 원인을 눈 자체에서만 찾지 않고, 전신의 건강과 신체균형의 이상으로 바라본다. 실제로 안구건조증의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을 보면 간이나 신장, 위 등의 열이 얼굴 쪽으로 올라와 눈 주변의 근육과 눈물샘이 제 기능을 못하도록 하는 경우도 많이 본다.
우리 몸이 피곤할 때 그 신호가 가장 먼저 나타나는 부위 중 하나가 바로 눈이다. 눈 건강은 전신건강상태를 그대로 드러내는 척도와 같다. 이외에도 개인의 체질과 환경에 따라 다양한 원인이 있기 때문에 안구건조증의 치료를 위해서는 다양한 임상경험과 한의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면밀한 진단이 필요하다.
일단 진단이 내려지면 증상의 원인이 되는 몸의 특정부위와 증상이 나타난 눈 부위를 함께 치료한다. 체내 오장육부의 기능을 증진시켜 면역력을 높이는 탕약과 함께 눈 주위 혈액순환 개선 및 수분대사 활성화를 유도하는 침구요법이 대표적인 한방치료법이다. 이 밖에도 순수한방생약제로 만들어진 점안액이 처방돼 눈물 양 부족과 염증발생 문제를 해결 해준다.
이처럼 안구건조증의 한방치료는 수술이나 마취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눈물의 생성 량을 늘리고 과도한 증발이 되지 않도록 한다.
최근에는 컴퓨터나 스마트 폰 등의 IT기기들이나 혼탁한 대기, 장기간운전 등의 환경도 안구건조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만큼 치료 이후 관리도 이러한 환경적인 원인까지 파악해 생활습관 등의 개선 등도 병행해야 한다.
봄철 안구건조증 역시 사전예방이 최선이다. 평소 면역력 강화에 힘쓰고 컴퓨터나 책을 볼 때에도 적적한 거리를 두며 일정시간 간격으로 눈에 휴식을 주는 것이 좋다. 업무나 학업에 집중할 때는 눈을 깜빡여 눈물이 각막을 덮도록 해준다. 또한 하루 세 번 정도 안구 돌리기나 눈 주변 마사지를 통해 눈 주변 근육을 이완시키고 피로를 풀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