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로 접어드는 요즘 어린아이를 동반하고 한의원을 찾아오는 부모님들이 있다. “옆집 아이가 작년에 한약을 먹고 감기도 걸리지 않고 겨울을 잘 보냈다고 해서요. 감기 예방약 좀 지으러 왔습니다.”, “우리 아이가 기관지가 약해서 감기에 잘 걸리는데 기관지를 보호하는 약을 지어 먹이려고요.”
서양의학에서는 감기는 감기 바이러스가 기관지의 윗부분, 즉 상기도에 감염되어 나타나는 질환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발열, 두통, 인후통, 관절통, 기침등의 증상은 이에 동반되는 증상으로 아직까지 확실한 치료법은 없고 동반되는 증상에 따라 치료한다.
한방에서는 주로 찬 기운, 바람 기운 즉 풍한(風寒)이라는 외부 환경의 인자가 체내에 침범했을 때 신체의 방어기전이 풍한에 대항하는 과정을 감기라고 이해한다. 이는 외부 자연환경의 변화가 신체에 스트레스로 작용했을 때 우리의 면역기능이 이러한 스트레스를 극복하거나 이에 적응 하지 못했을 때 나타나는 이상현상을 말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같은 변화에 적응하고 적응하지 못하고에 따라 감기에 걸리거나 걸리지 않거나 하는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우리의 면역기능, 나아가서 면역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하게 만들어 주는 신체기능의 차이에 따라 다른 반응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개인의 면역기능은 체내의 생리요소중에서 기(氣)가 담당한다. 결국 기(氣)의 능력 여하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기의 많고 적음이 주된 요소이기는 하지만 기의 활동이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다른 요소들과의 균형 및 조화를 이루는 협력에 의해서 정상적으로 기의 기능 활동이 이루어 진다. 따라서 기를 충분히 생산할 수 있는 능력과 기를 신체의 구석구석에 고루 분포 하여 신체기능을 전체적으로 균형잡히게 할수 있는 순환의 여하, 그리고 기 소모의 적당여부 등과 기의 활동이 신체의 면역기능을 강하게 할 수 있는 조건이 되는 것이다.
감기예방은 기의 생산이 충분할 수 있도록 음식의 섭취와 소화 흡수 능력 그리고 면역을 높일 수 있도록 처방해야 한다. 간, 심, 비, 폐, 신의 오장과 육부를 비롯한 전신기능을 활발하게 하면 감기 뿐만 아니라 다른 질환도 예방할 수 있다.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하고 과로를 피하고 부족한 기를 보충하는 한약을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