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 요
o 퀘벡주 경제는 고용 증가, 정부 지출 증대, 수출 및 제조업 부문 호조에 힘입어 2017년에 1.6%의 GDP 성장률과
6.5%의 낮은 실업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o 그러나, 트럼프 미행정부 출범으로 야기되는 불확실성이 이같은 전망에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음. 특히, 트럼프의 강력한 보호무역주의 공약이 실제 정책으로 실현될 경우, 대미 수출 비중이 70%를 넘는 퀘벡 경제에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됨.
- 주요 경제지표 전망
o Desjardins, TD, Royal Bank에 따르면, 2017 퀘벡주 GDP 성장률은 2016년 *추정치(약 1.5~1.6%)와 유사한 수준인 1.6%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2016년 상반기 퀘벡 경제는 다소 고전했으나 하반기부터 제조업, 금융, 부동산 부문이 활력을 얻으면서 7월 이후 71,900명의 신규 고용 창출, 11월에는 사상최저인 6.2%의 실업률을 기록함.
– 2016년 균형재정 달성에 기반하여 2017년에 의료•교육 부문을 중심으로 정부 지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전체 경제성장률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 또한 수출 및 제조업 부문이 2017년 또다른 성장 요인으로 예상되고 있음. TD는 2017-18 미국 경제성장률을 2%로 예측하면서 캐나다 제조업 부문의 수요 증가를 견인할 것이라고 전망함.
< 캐나다 지역별 GDP 성장률 및 실업률 전망 (2014~2017) >
Real GDP 성장률 (%) 실업률 (%)
2014 2015E 2016F 2017F 2014 2015 2016F 2017F
CANADA 2.6 0.9 1.4 1.8 6.9 6.9 7.0 6.9
- & L. -1.0 -2.0 -0.6 -1.2 11.9 12.8 13.3 13.9
P.E.I. 1.5 1.3 1.7 1.5 10.6 10.4 10.8 10.8
N.S. 0.8 1.0 1.5 1.4 9.0 8.6 8.4 8.1
N.B. -0.1 2.3 0.6 0.8 9.9 9.8 9.7 9.8
Quebec 1.3 1.2 1.6 1.6 7.7 7.6 7.1 6.5
Ontario 2.7 2.5 2.6 2.1 7.3 6.8 6.6 6.5
Manitoba 1.5 2.2 2.1 1.7 5.4 5.6 6.1 6.0
Sask. 2.4 -1.3 -0.5 1.5 3.8 5.0 6.3 6.3
Alberta 5.0 -3.6 -2.8 2.1 4.7 6.0 8.1 8.4
B.C. 3.3 3.3 3.3 2.0 6.1 6.2 6.0 6.1
E/F: TD Economics 추정치
자료 출처: Statistics Canada/TD Economics(2016.12)
*Desjardins 2016 퀘벡주 GDP 성장률 추정치는 1.5%, TD 추정치는 1.6%
- 미국 정책 변수
o 경제 전문가들은 트럼프 미행정부의 출범으로 야기되는 불확실성이 이같은 경제전망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함.
– 트럼프 당선자는 강력한 보호무역주의 성향과 함께 NAFTA 재협상 가능성을 언급해 왔으며, 오바마 전행정부의 주요성과인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비판적 태도를 보이고 있음.
o 트럼프 미행정부의 정책 변수는 캐나다 경제에 긍정, 부정적 측면을 모두 갖고 있으며, 그 파급효과의 방향과 수준 또한 지역별 편차가 있을 수 있음. 퀘벡주의 경우, 부정적 영향이 더욱 클것으로 예상됨.
– TD는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 인프라 투자 지출은 미국 경제 성장률을 2% 수준으로 증대시켜 결과적으로 미국의 주요 교역 파트너인 캐나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함.
– 또한, 트럼프 당선자의 Keystone XL 송유관 건설 재추진 주장과 같은 친석유산업적 성향은 석유산업 의존도가 높은 지역에 호재로 작용함.
– 그러나, 퀘벡주의 석유가스산업 비중이 낮고 제조업 부문이 주요 수출기반 산업임을 고려할 때, 이같은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는 대미 수출 비중이 70%가 넘는 퀘벡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음.
※ 지난 2016.10 만료된 미국-캐나다 Softwood Lumber Agreement 협상 이슈는 주요 목재 수출지역인 B.C. 및 퀘벡주에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으며, 트럼프 행정부의 대캐나다 무역정책 기조를 가늠하는 시험대가 될 전망임.
o 퀘벡 경제계는 이같은 트럼프 미대통령의 공약이 실제 정책으로 실현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는 한편 회의적 시각을 보이고 있음. 실제로 실행될 경우, 그 파급효과는 1~2년 후에 나타날것으로 전망됨.
– 퀘벡 수출제조업협회(QMEA) 관계자는 트럼프의 공약이 실제 정책에 반영되기 위해서는 의회에서 자유무역주의자인 공화당원들의 지지를 얻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함.
자료정리: 주몬트리올 총영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