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트리올 대중교통 파업 확산…세 번째 노조도 19일 파업 돌입, 협상 교착 장기화 우려

STM X

몬트리올 대중교통공사(STM)의 노사 갈등이 11월 들어 더욱 격화되고 있다. 유지보수 인력과 운전·운영 인력에 이어 행정지원 직원을 대표하는 세 번째 노조까지 파업을 선언하면서, 대중교통 운영 차질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행정지원직 노조는 약 1,300명의 조합원이 11월 19일 하루 파업에 돌입한다고 8일 발표했다. 다만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중교통 운행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스테판 라몽(Stéphane Lamont) 노조위원장은 “협상이 17개월째 답보 상태에 놓여 있다”며 “42차례 넘는 회담에도 진전이 없어 더 강한 의사 표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하지만 시민을 겨냥한 압박은 원치 않는다”고 강조했다.

현재 STM에서는 약 2,400명의 유지보수 노동자 파업으로 인해 버스·지하철이 출퇴근 및 심야 시간에만 제한 운행되고 있다.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 파업은 11월 28일까지 이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거의 한 달 동안 정상 운행이 어렵게 됐다.

장 불레(Jean Boulet) 퀘벡주 노동부 장관은 갈등이 심화될 경우 특별법 발효 시점을 앞당기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해당 법안은 파업을 강제로 중단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현재 11월 30일 시행 예정이다.

라몽 위원장은 유지보수·운영 인력 노조와 마찬가지로 외주화(하청) 확대가 핵심 쟁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STM이 IT 서비스 등 많은 업무를 외부 업체에 의존하고 있으며, 올해 5월 기준 약 1,800명에 달하는 하청 인력이 투입된 것으로 파악한다”며 “외주화는 비용만 증가시키고 전문성도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이어 “고용 안정성, 기존에 확보한 복지 조건, 임금 구조 등에서도 의견 차이가 크다”고 덧붙였다.

STM 측은 파업 통보를 확인했으며, 노조와의 조정 절차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외주화·고용 안정성 등 구체 쟁점에 대해서는 “공개적으로 협상하지 않겠다”며 언급을 거부했다.

한편, 약 4,500명의 버스 운전기사·지하철 운영 인력을 대표하는 노조는 11월 15·16일 주말 2일간 파업을 예고했다. 이들은 이미 11월 1일 하루 동안 전면 파업을 벌여, 몬트리올 전역에서 버스·지하철 운행이 완전히 중단된 바 있다.

해당 노조는 이번 달 후반에도 하루 전면 중단을 재차 추진하고 있지만, 시행을 위해서는 퀘벡 노동재판소의 승인이 필요하다.

STM은 이번 파업들로 이미 수백만 달러의 수익 손실을 기록한 가운데, 잇따른 노조 행동으로 11월 내내 도시 교통망이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