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노동조합 전국 파업 돌입…우편 서비스 대규모 차질 우려

Canada Post X

캐나다우체국노동조합(CUPW)이 협상 결렬을 이유로 오늘(15일) 0시 1분부터 전국적인 파업에 돌입했다. 약 5만5천 명의 노조원이 참여한 이번 파업으로 캐나다 전역에서 우편 서비스가 중단되며 시민과 기업에 큰 혼란이 예상된다.

스티븐 맥키넌(Steven MacKinnon) 캐나다 노동부 장관은 이날 몬트리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협상 외 다른 해결책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라며 “양측이 합의에 이를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자원을 투입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이번 협상을 “매우 어려운 상황”으로 묘사하며 주요 쟁점에서 큰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고 전했다.

캐나다 우체국은 성명을 통해 파업 기간 동안 새로운 우편물 접수와 배달이 전면 중단된다고 밝혔다. 특히 북부 및 외딴 지역과 같이 우편 의존도가 높은 지역도 서비스가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주요 복지 수당과 연금 지급은 예외적으로 진행된다. 20일에 발송 예정인 캐나다 연금(CPP), 노령보장금(OAS), 보훈연금, 자녀세액공제(CCTB) 등 복지 관련 우편물은 정상 배달할 것이라고 공지했다.

노조는 1년간의 협상 끝에 회사 측이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았다며 파업의 책임이 회사에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공정한 임금, 안전한 근로환경, 퇴직 후의 존엄을 위한 제도 개선, 공공 우체국 서비스 확대”를 주요 요구사항으로 제시했다.

반면, 캐나다 우체국은 회사의 적자를 언급하며 노조의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회사 측은 성명을 통해 “2018년 이후 30억 캐나다 달러(약 3조 원)의 적자가 발생했다”며 “7일 배송 체제 도입과 경쟁력 있는 가격 정책을 포함한 새로운 서비스 모델이 회사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연방정부는 현재 양측의 협상 타결을 위해 조정 인력을 투입하고 있다. 그러나 협상이 장기화될 경우 강제 복귀법 도입이나 구속적 중재 절차 시행이 검토될 가능성도 있다.

맥키넌 장관은 “이번 협상이 양측의 합의로 종결되길 기대한다”라며 “정부는 가능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조의 이번 파업은 2018년과 2011년에 이어 세 번째 대규모 파업이다. 앞선 두 사례 모두 연방정부의 강제 복귀법으로 종결된 바 있다.

소매업계는 연말 쇼핑 시즌에 발생한 이번 파업으로 소비자와 기업이 큰 피해를 입을 것이라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 캐나다소매협회의 맷 포리어(Matt Poirier) 부회장은 “이번 파업은 소매업계와 소비자 모두에게 최악의 시나리오”라며 신속한 협상 타결을 촉구했다.

전문가들은 긴급 우편물 발송이 필요한 경우 민간 물류업체를 이용할 수 있지만, 비용 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파업의 여파는 파업 종료 후에도 상당 기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캐나다 우체국은 중단된 우편물 배송을 ‘선착순’ 방식으로 처리할 것이라며 고객들에게 인내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