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하나가 만딱

문충성

 

섬 하나가 만딱 감옥이었주마씸

건너가지 못 허는 바당은 푸르당 버청

보는 사람 가슴까지 시퍼렁허게 만들었쑤게

희영헌 갈매기들 의영허게 날곡

 

눈치 보멍 모말이영 강이영 톨이영 메역이영

해당 먹엉 살았쑤게 총 든

가마귀들은 불타는 중산간

마을서 시커멍허게 날곡

 

밤이믄 산폭도들 쳐들어오카 부덴

숨도 제대로 못 쉬었주마씸

하늘님아 하늘님아 하늘님까지

누렁허게 무서웠주마씸 경해도

 

경정 살아난 볼레낭 아래서

꿩 새기 봉그곡

불탄 자리엔 고사리들 왕상허게 크곡

구렝이들 허물 벗는

석석헌 비름에 눈이 시령 4월

바름 어디선가

자꾸 불어왕

연둣빛으로 꺼꾸러지곡 연둣빛으로

 

무싱거마씸

자유가 어디 있었쑤강

죽음이었주마씸

섬 하나가 만딱

 

—————————————————————————————————————————————————–

 

제주 4.3 사태를 그린 대표적 소설 현기영의 ‘순이 삼촌’을 본 사람이라면 꼭 제주에서 살지 않았더라도 토벌대가 저지른 제주 양민 학살이 어떤 상처를 남겼는지 짐작은 할 수 있다. 이번에 영화로 만들어진 ‘지슬’ 또한 같은 문제를 담았다고 한다. 어떤 이념의 죄가 사람의 생명보다 중했길래 제주의 가슴에 지워지지 않는 트라우마를 남긴 걸까. 문충성 시인은 제주 출생으로 1977년 ‘문학과 지성’으로 등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