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사람들은 어지러우면 빈혈이라고 생각하는데 빈혈과 어지럼증은 엄연히 다르다. 빈혈은 말 그대로 피가 부족하다는 뜻으로 피의 성분중에 적혈구 수치나 헤모글로빈(hemoglobin) 농도가 낮게 나오는 경우를 말한다. 한의학에서도 빈혈을 혈허(血虛)의 범주에 넣는데 무형의 생명활동 요소인 기(氣)와 상대 되는 개념으로 해석 되는 혈(血)이 부족한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빈혈과 ‘혈허’가 뜻하는 바는 차이가 난다.
빈혈의 원인은 출혈 등으로 혈액이 과다 손실 됐거나 피를 만드는 기능이 떨어지는 질환 상태로 나뉜다. ‘혈허’의 개념은 ‘기허(氣虛)’가 오래 지속돼 피를 만드는 기능이 떨어진 쪽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혈허’에 따른 증상은 다양하다. 피부 및 안검결막, 입술 등의 점막이 창백해지며 탄력성과 광택이 없어진다. 자각증상으로는 힘이 없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 트림, 하품, 권태감, 손발이 차고 머리가 멍하고 기억력이 감퇴된다. 졸음도 자주 오고 두통이 일어나며 숨이 차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시력도 떨어질 수 있다.
혈허란 몸 안의 혈액이 부족하고 피가 허약해서 순환이 잘 안 되는 상태이다. 앉았다 일어나면 어지럽고 눈이 침침해지는 것이 대표적 증상이다. 두통이 잘 생기면서 손발이 저리며 피로 해 지는 증상도 나타난다. 양방에서 말하는 빈혈을 포괄하는 광의의 진단명이 바로 혈허인 것이다.
빈혈의 치료법은 원인을 찾아 그것을 제거해 주는 것이다. 빈혈 중 가장 많은 철결핍성 빈혈은 철분제를 복용하거나 주사를 맞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철결핍성 빈혈의 원인이 되는 위장관 출혈이나 자궁출혈 등도 찾아 봐야한다.
한의학에서 혈허의 치료에는 녹용을 많이 사용한다. 녹용에는 판토크린을 비롯하여 칼슘, 인, 그밖에 많은 무기물이 들어있어 적혈구의 생성을 촉구하며 혈색소양을 늘리는 작용을 한다. 당귀도 피를 만드는 대표적 약재인데 여기에 함유된 비타민B12는 보혈 기능이 있다.
‘혈허’치료를 위해 기운을 보태주는 ‘익기(益氣)’치법을 겸하는데 이것은 ‘기가 움직여야 혈이 움직인다’는 한의학 이론에 근거한 것이다. 바로 이점이 한방의 ‘혈허’가 양방의 빈혈과는 일치하지 않는 점이다. 즉 한방에서는 혈허의 여러 증상들을 적혈구 수나 혈색 소량의 부족으로만 보지 않고 혈액 순환의 측면도 고려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