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꽃 화인 – 정재록

동백꽃 화인

 

정재록

 

선창가 뒷골목의 동백여인숙 비닐 장판에

800℃짜리 동백 한 송이 졌던가 보다

보일러의 파이프 자국이 물결치는 노르께한 비닐 바닥에

섬처럼 던져진 까만 점 하나

 

아까 다방에서 티켓 끊어 차 배달 나가던

핫팬츠의 손목에도 세 개나 찍혀 있던 동백꽃 자국

여인숙의 장판만이 아니라 사람의 살 속으로도

불을 찔러 넣을 수 있다는 증표

불의 도장을 꾹 찔러 넣은 화인火印

 

불이 심어놓은 뿌리는 깊고 깊다

보온병을 든 손목을 종두자국만하게 파고든 불도

이 막다른 선창까지 뿌리가 한참 깊을 것이다

 

그 불씨 한 점 가슴에 묻고

이 선창가 후미진 여창에서 너를 생각한다

네 속 깊이 찍혔을 화인을 눈여겨보고 있다

네 몸에 숙명처럼 떠 있을 섬 하나를

이 허름한 여인숙의 비닐장판에서 본다

볼 덴 자국을 증거인멸할 수도 없는 너

그 깊은 뿌리를 더듬어 너에게 가리라.

 

-인당수에 심청이를 던져놓고 시인은 선창가에서 하루밤을 묵고 있는 것일까. 막다른 골목에서 만난 이 시대의 또 다른 모습을 한 심청이들을 만날 때마다 불에 덴 자국처럼 상처는 늘 선명하다. 화인이건, 꽃이건 혹은 섬이라고 애써 이름을 붙일지라도. 정재록시인은 2007년 부산일보와 광주일보 신춘문예로 세상에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