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와집 한 채

김명인

길이 있다면, 어디 두천쯤에나 가서

강원남도 울진군 북면의

버려진 너와집이나 얻어 들겠네, 거기서

한 마장 다시 화전에 그슬린 말재를 넘어

눈 아래 골짜기에 들었다가 길을 잃었네

저 비탈바다 온통 단풍 불 붙을 때

너와집 썩은 나무껍질에도 배어든 

연기는 매워서

집이 없는 사람 거기서도 눈물 잣겠네 

쪽문을 열면 더욱 쓸쓸해진 개옻 그늘과

문득 죽음과, 들풀처럼 버팅길 남은 가을과

길이 있다면, 시간 비껴

길 찾아가는 사람들 아무도 기억 못하는 두천

그런 산길에 접어들어

함께 불 붙는 몸으로 저 골짜기 가득

구름 연기 첩첩 채워넣고서

사무친 세간의 슬픔, 저버리지 못한

세월마저 허물어버린 뒤

주저앉을 듯 겨우겨우 서 있는 저기 

너와집,

토방 밖에서 황토흙빛 강아지 한 마리 

키우겠네

부뚜막에 쪼그려 수제비 뜨는 나 어린

처녀의

외간 남자가 되어

아주 잊었던 연모 머리 위의 별처럼

띄워놓고



그 물색으로 마음은 비포장도로처럼 덜컹거리겠네

강원남도 울진군 북면

매봉산 넘어 원당 지나서 두천

따라오는 등뒤의 오솔길도 아주 지우겠네

마침내 돌아서지 않겠네

——————————————————

기지촌에서 혼혈아들에게 국어를 가르치던 시인이 이제 나이를 먹어 무욕의 세상을 품에 담아 써내려간 시를 읽으면 눈물이 난다네. 굽이 굽이 지난 온 길이 바로 이네 모습이고 마침내 돌아서지 않겠다는 시인을 이제 어쩌랴.  김명인 시인은 중앙일보 신춘문예로 세상에 나왔고 최근 시집으로 ‘이 가지에서 저 그늘로’ 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