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복

             떨군 나무들의 그림자가 길게 깔리면서 푸르름이 가시지 않은 땅은 적쇠에 그을은 스테이크 같았다 처음엔 딸기나 참외를 재배하는 비닐 하우스,길게 뻗친 허연 비닐 지붕인 알았다 미안하다 덮인 겨울이면 땅의 탯줄처럼 한없이 늘어나 우리들 속옷 덜아문 배꼽까지 닿아 있던 강이여, 돌아서담배 피우는 사이 풀풀풀 떡가루 같은 눈을 쓸어올리며 너는 방패연의 긴긴 꼬리처럼 단숨에 떠오를 같았다 아니다 다시 칼바람 잦아들면 강은 눈썹끝까지 옥양목 홑이불 끌어올리면 자던 어린 날의 늦잠이거나 내장이 터진 어떤 삶을 덮어 가리던 수의였다.

            이성복의 시는 불친절하다. 불친절은  그가 갈겨 쓰는 시의 행간들 사이를 헤집으며 문득 문득 서러움을 뿌려놓는다. 성장통속에 꿈틀거리는 열정이이 시에서 소리 죽여 울고 있다.  사물의 연상작용 속에 던져지는 낱말들은 비닐 하우스에서 탯줄로, 방패연으로, 옥양목 홑이불로 그리고는 끝내 수의에 가서멋는다. 강을 매개체로한   연상작용 속에서 생명이 태어나고 죽는다. 절실함이 쉽게 들어나기 않기에 더욱 간절하게 다가오는 것은 시인의 기교일까 부끄러움일까…